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태평양전쟁 당시 미.일 함재기 분석

태평양 전쟁 당시 미.일 양국의 함재기 규모와 함재기의 성능.

항공 전력 규모 미300 vs 일400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미군은 3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이 중 진주만 기지에 주둔하고 있던 함재기는 238대.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일본군은 4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이 중 진주만 공습에 참가한 함재기는 360대.

이후 1945년 일본이 항복을 할 때 미1,200 VS 200.
🔀미군은 1,2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일본군은 2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분석: 당시 미국의 막강한 산업 역량을 볼 수있는 대목임.


미.일 양국의 함재기 성능 비교.

미군의 함재기는 일본군의 함재기보다 일반적으로 성능이 우수했음.
미군의 함재기는 항속거리가 길고, 무장과 전자 장비가 더 뛰어났음.
미군은 항공모함의 갑판이 더 넓어 여유가 있었다.
함재기의 탑재량이 더 많았다.

일본 항모는 상대적으로 협소함
갑판 하부 무장 창이 협소함.

태평양전쟁 당시 대표적인 함재기

미군 함재기

🦢 F4U 콜세어: 1942년부터 실전 배치된 미군의 주력 함재기.
뛰어난 항속거리와 기동성이 우수함.

🦢 F6F 헬캣: 1943년부터 실전 배치된 미군의 주력 함재기.
콜세어보다 성능이 다소 떨어졌지만 생산성이 높았음.

🦢 TBF 어벤저: 뇌격기.
강력한 뇌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 SB2C 헬다이버: 폭격기.
뛰어난 폭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군 함재기

🦢 A6M 제로센: 1940년부터 실전 배치된 일본군의 주력 함재기.
뛰어난 기민성 가벼운 회전성.

🦢 D4Y 수직꼬리: 1941년부터 실전 배치된 일본군의 주력 함재기.
제로센보다 성능이 다소 떨어졌지만 생산성이 높았다.

🦢 B5N9 뇌격기: 뇌격기.
뛰어난 뇌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 B6N2 폭격기: 폭격기.
뛰어난 폭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