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태평양전쟁의 종말

 태평양 전쟁은 사실상 오키나와 전투 또는 유황도 전투로서 끝이 난 것이나 다름 없다고 봅니다.하지만 일본은 결사 항전의 의지가 있었고,  따라서 인류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이길 바라는 핵폭탄의 위력과 참상을 보게 됩니다. 일본은 무조건 항복 한 후 한국 전쟁을 게기로 지금의 번영을 누리게 됩니다.    이 전쟁의 끝은 쓰기가 싫어집니다. 여기서 끝 내지만 태평양 전쟁을 뒤 돌아 볼 기회가 되어서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인류는 지금도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되면 세계 제1차 대전을 공부 해 볼 것입니다. #태평양전쟁, #태평양전쟁끝

이오지마 전투,유황도전투(硫黄島戦鬪) Battle of Iwo Jima

이오지마 전투,유황도전투(硫黄島戦鬪) Battle of Iwo Jima 유황도전투(硫黄島戦鬪)로 알려진 이오지마 전투는 영어로는 Battle of Iwo Jima라고 하는 태평양 전쟁 막바지 치열한 천투였습니다.   1945년 2월 19일 ~ 1945년 3월 26일)가지 약 두달 반정도의 기간동안 미국이 이오섬을 탈환하기 위해 섬을 상륙하는 미군과 일본군 간의 전투를 말합니다. 미군의 작전명 디태치먼트 작전(Operation Detachment)으로 명명하고 섬의 남사면과 북사면을 점령하는 목적의 상륙작전입니다. 이오지마(유황도硫黄島) 요새 . 중무장한 일본 군은 요새화 한 섬에서 결사항전 했기 때문에 압도적인 군사력으로 막대한 포격에 의해 섬의 모양이 바뀔 정도였으나 섬의 특징 상 수많은 동굴로 이어진 지하 벙커를 일일이 공격하고 무력화하는 과정에서 양측 모두 엄청난 병력 손실을 보게 됩니다. 요새의 자연 벙커와 숨겨진 포 진지 및 약 18 km에 달하는 동굴 터널 속에서 잘 갖추어진 방어 시스템은, 공격하는 미군 입장에서는 정말 까다로운 전투였습니다. 이오지마 전투는 미국 해군의 광범위하고 압도적인 함포 지원을 받으며 하늘을 완전히 장악하고 정밀 폭격을 하지만 유황도 전투는 밤낮 쉬지 않고 5주 간 계속된 태평양 전쟁에서 벌인 전투 중 가장 잔인하고 치열한 전투로 기록됩니다. 이오지마 전투의 미군과 일본군의 격렬한 충돌 이오지마 전투는 태평양 전쟁에서 가장 격렬하고 참혹한 전투로서  미군과 일본군 모두  엄청난 피해를 보게됩니다. 병력과 전투력 양측의 병력과 전투력과 총 사망자 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입니다. 미군: 병력 : 약 11만 명의 해병대를 주축으로 상륙 작전을 감행했습니다. 화력: 압도적인 해상 및 항공 화력을 바탕으로 일본군의 방어 시설을 파괴하고, 상륙 작전을 지원했습니다. 장비 : 최신식 무기와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 험준한 지형과 일본군의 지하 벙커로 인해 고전했습니다. 일본군: 병력 : 약 2만 1...

오키나와 전투 Battle of Okinawa

오키나와 전투  Battle of Okinawa 오키나와 전투는 1945년 4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 83일 동안 벌어진 태평양 전쟁의 마지막 주요 상륙 지상 전투입니다. 미국과 일본은 오키나와 섬을 장악하기 위해 격렬하게 공격했고, 이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습니다. 당시 오키나와 전투(Battle of Okinawa)는 코드 네임 아이스버그 작전(Operation Iceberg)으로 진행한 태평양 전쟁의 막바지인 1945년 4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83일에 걸쳐 치른 전투입니다. 가장 치열한 전투로 이오지마 전투에 이어서 일본 영토 내에서 벌어진 최초의 미군과 일본군의 육상전 포함 전면전으로서 미군이 일본군과 치룬 전쟁 중에서 가장 충격적인 전쟁이었습니다. 이 전투에서 미군은 가장 큰 피해를 냈으며, 일본 측은 사령관, 군인 뿐만 아니라 그곳 주민들까지 전원 옥쇄 해 가족끼리 서로를 죽이거나 수류탄으로 자결하는 등의 비극이 일어났던 전쟁입니다. 일본군에 의해 끌려간 우리 국민도 이곳에서 다수 사망했으며 전쟁이 긑난후 구출된 국민도 다수 있습니다. 오키나와 전투  Battle of Okinawa 자료사진 실제아님  오키나와 전투(Battle of Okinawa)배경 일본은 오키나와를 "태평양의 방패"라고 부르며 반드시 방어 해야 하는 입장이었고 , 미군은 오키나와를 점령하면 일본 본토를 폭격하기 위한 공군 기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반드시 점령해야만 했습니다. 1945년 당시 일본은 이미 태평양 전쟁에서 패색이 짙었을 때입니다. 미국은 일본 본토를 공격하기 위한 거점이 필요했으며 , 오키나와 섬은 일본 본토와 대만 사이에 위치하여 전략적으로 아주 중요한 위치였습니다. 오키나와 전투(Battle of Okinawa)의 영향 오키나와 전투는 태평양 전쟁 중 가장 처절한 전투로 기록됩니다. 이 전투에서 패배한 일본군은 사실상 방패를 잃게되며 일본의 패배를 가속화하게 됩니다. 곧이어...

미드웨이 해전 Battle of Midway

미드웨이 해전 Battle of Midway 미드웨이 해전은 1942년 6월 4일부터 6월 7일까지 태평양에서 벌어진 해전으로, 일본 제국 해군과 미국 해군이 서로 격돌한 태평양전쟁 최대의 해전입니다. 태평양전쟁은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공격한 이후 이 미드웨이 전투로서 태평양 전투는 사실상 승패가 결정 난 전투로 봅니다. 이 해전은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완전한 승리를 위해 미드웨이 환초를 공격한 것을 시작으로 전개됩니다. 전투 양상은 일본군이 공격을 감행하고 미군이 방어하는 개념이지만 미군은 매복 형식으로 일본군을 기다리지만, 일본군은 미군이 기다린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것이 치명적인 실수로 패전으로 이어집니다. ** 중요 상황 미군은 우여곡절 끝에 일본군의 암호를 해독하는데 성공한 상태로서 이번 전투의 일본군 공격지점과 날자를 예측했습니다. 미드웨이 전투 미국 해군 전력 개략 미국 해군은 항공모함 3척, 순양함 8척, 구축함 11척 등 총 112척의 함선을 투입했습니다. 함재기 233대를 탑재한 항공모함 3척을 중심으로 공중 전과 폭격을 수행했습니다. 미드웨이 전투 일본군 전력 개략 일본군은 항공모함 4척, 순양함 7척, 구축함 10척, 잠수함 10척으로 함선 총 164척을 투입했습니다. 또한, 항공전력 으로 함재기 총 432대를 탑재한 항공모함 4척을 투입 공중전과 폭격을 수행했습니다. 미드웨이전투 이미지는 참고용으로 AI가 그린것임 양국 작전 개요 일본군은 미드웨이 환초를 공격하여 미군의 항공모함을 격침하고, 미드웨이 환초를 점령함으로써 태평양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시행한 전투입니다. 일본군은 6월 4일 아침 미드웨이 환초에 대한 공격을 작전 계획대로 개시합니다. 하지만, 미 해군은 일본군의 공격을 정확히 예측하고 있었고, 일본군의 항공모함을 격침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일본군은 미드웨이 환초를 공격 해 보기도 전에 미군의 매복에 걸려 전력을 크게 상실하고 후퇴를 결정하고 도주하게 됩니다. 미.일 군사적 피해 상황 일본...

과달카날 해전

과달카날 해전의 개요 과달카날 해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쟁의 주요 전투 중 하나이다. 1942년 8월 7일부터 1943년 2월 9일까지 미국과 일본의 군대가 과달카날 섬을 두고 벌인 전투이다. 이 전투는 태평양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일본군이 태평양 전역에서 패퇴하는 과정이며 계기가 된 전쟁이다. 과달카날 해전의 병력 규모 이 전투에 참전한 병력 규모. 미국: 약 200,000명  일본: 약 100,000명 과달카날 해전 결과 미국은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과달카날 섬을 장악했다. 이로써 일본군은 과달카날을 통해 호주를 공격하려는 계획을 포기해야 했다. 또한, 이 전투는 일본군의 병력과 물자 손실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일본군의 태평양 전역의 패퇴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과달카날전투 과달카날 해전 전투의 주요 과정 과달카날 해전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1단계: 미국군의 상륙 1942년 8월 7일, 미국은 과달카날 섬에 상륙하여 일본군과 교전을 시작한다. 일본군은 과달카날 섬을 방어하기 위해 약 22,000명의 병력을 투입했다. . 🙌 2단계: 일본군의 반격 1942년 10월, 일본군은 과달카날 섬을 탈환하기 위해 반격을 시작했다. 일본군은 과달카날 섬에 약 10,000명의 병력을 투입하여 미국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 🙌 3단계: 미국의 승리 1943년 2월, 미국군은 치열한 전투 끝에 일본군을 과달카날 섬에서 완전히 몰아내고 승리를 거둔다. 과달카날 해전은 태평양 전쟁의 완전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일본군이 태평양 전역에서 패퇴하기 시작하는 과정이 된다. 이 전투는 미국의 해군력과 공군력의 우세를 보여주었으며, 일본군의 전략적 실수를 드러낸 전투이기도 하다. 과달카날 위치와 인구수 군사적 중요도  과달카날 섬은 솔로몬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Solomon Sea의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과달카날 섬의 북쪽에는 투투일라 섬, 남쪽에는 뉴조지아 섬이 위치하고 있다. 과달카날 섬의 인구수...

도쿄만 해전 - 태평양전쟁

필리핀 마닐라 도꾜만 해전 도쿄만 해전은 1944년 11월 24일에서 26일까지 도쿄 만에서 벌어진 해전이다. 일본 제국 해군과 미국 태평양 함대가 격돌한 이 해전은 일본의 패배로 끝났다. 전투 배경 1944년 10월, 미국은 필리핀 전투에서 일본을 패배 시키고 필리핀을 점령했다. 일본은 필리핀을 탈환하기 위해 도쿄 만을 기습 공격하려 하면서 발생한 전투인데 , 미국 해군은 일본 군이 도발 할 것을 알고 전투 대기한 가운데 일본 군이 나타난다. 도꾜만 전투 11월 24일, 일본은 2척의 항공모함을 주축으로 편성 한 연합 함대로 도쿄 만을 공격했다. 미국은 3척의 항공모함을 주축으로 편성한 태평양 함대로 일본 함대를 기다린다. 24일, 일본 함대는 도쿄 만에 도착하여 공격을 시작하지만 , 미리 알고 대기한 미국은 일본 함대의 공격을 막아 냈으며 역공을 당한 일본 함대는 2척의 항공모함을 잃었다. 25일, 일본 함대는 후퇴하기 시작하는데 , 미국 함대는 일본 함대를 추격하여 항공모함 1척을 더 격침 시키는 쾌거를 이룬다. 도꾜만전투 이미지는 참고용으로 AI가 그린것임 전투 결과 도쿄만 해전에서 일본은 3척의 항공모함을 잃게 되어 사실상 태평양 전쟁을 위해 준비한 항공모함 전력의 대부분을 상실한다. 반면 미국은 이 전투에서 항공모함 1척만 잃고 승리한다.이로써 일본은 태평양에서 주도 권을 상실하게 되며 이후 전쟁은 패배의 길로 달리게 된다. 도꾜만 전투의 의의 👎일본의 항공모함 전력의 약화: 일본은 이 해전에서 항공모함 전력을 크게 상실하고, 태평양에서 주도권을 상실했다. 👎미국의 항공모함 전력의 우위: 미국은 이 해전에서 승리하여 태평양에서 항공모함 전력의 우위를 확보했다.    도꾜만전투 이미지는 참고용으로 AI가 그린 것임 ** 참고 ** 필리핀의 도쿄 만이라는 이름은 19세기 말에 일본의 도쿄 만을 방문한 미국인 선교사인 윌리엄 헨리 프레어(William Henry Freer)에 의해 유래되었다. 프레어는 마닐라 만을 ...

싱가포르 해전(海戰)

싱가포르 해전의 개요 싱가포르 해전은 영국이 "동방의 진주"라고 부르는 싱가포르 요새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싱가포르 해전은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후 두번째로 치른 전투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쟁의 한 부분으로 1942년 2월 8일부터 15일까지 약 일주일간 영국령 말라야와 싱가포르 사이의 해역에서 벌어진 태평양전쟁 초기 해전이다. 일본 제국해군은 싱가포르 방어를 맡은 영국 해군과 호주 해군을 포함한 연합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고, 이는 태평양 전쟁의 전세를 일본에 유리하게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국군은 싱가포르에 강력한 요새를 구축하고 있었지만, 일본군의 기습 공격과 빠른 진격에 어이없이 당한다. 태평양 전사 중 연합군의 특히 영국군이 패배한 치욕적인 전투로 기록된다. 싱가포르해전 by AI 싱가포르 해전 양측 대략적 병력 규모 일본군: 130,000명 (육군 100,000명, 해군 30,000명) 영국군: 85,000명 (육군 70,000명, 해군 15,000명) 싱가포르 해전 전쟁 상황 일본군은 12월 10일 말라야 반도를 침공한 후, 12월 25일 싱가포르 북부의 조호르 바루를 점령했다. 영국군은 반격을 시도했지만, 일본군의 강력한 공격에 실패한다. 1월 31일 일본군은 싱가포르 남부의 페낭섬을 점령하고, 2월 7일에는 싱가포르섬 북부를 점령했다. 영국군은 2월 15일 싱가포르에서 항복하며 일본 제국해군은 대승을 거둔다. 싱가포르 해전 후 결과 싱가포르 해전은 일본군의 압승으로 끝났다. 영국은 싱가포르를 상실함으로써 동남아시아에서의 지위를 잃게되어 이 지역 세력권을 일본에 넘기게 되며 태평양 전쟁의 향방을 크게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싱가포르 해전 세부 일지 12월 8일: 일본군이 말라야 반도를 침공하기 시작함. 12월 10일: 일본군이 조호르 바루를 점령함. 12월 13일: 일본군이 말라야 반도에 상륙함. 12월 25일: 일본군이 싱가포르 북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