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진주만 공격 이후의 주요 해전 목록 순서.

태평양 전쟁은 일본 제국이 미국의 하와이 오하우 진부만을 공격 하면서 시작되는데 이후 이름있는 전쟁만 순서대로 정리한다. 진주만 공격 이후 선전 포고를 했기때문에 진주만 공격 자체는 태평양전쟁 이전이라고 본다. 진주만 공격 이후의 주요 해전 순서는 다음과 같다.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이 미국 하와이주 오아후 섬에 있는 진주만 기지 기습공격. 1942년 2월 15일: 싱가포르 해전: 일본군이 영국군의 싱가포르 함대를 격파하고 싱가포르를 점령함. 1942년 4월 1일: 도쿄 만 해전: 미국 항공모함 3척이 일본 본토를 공격함. 1942년 5월 4일: 과달카날 해전: 미국과 일본이 과달카날 섬을 두고 전투를 벌임. 1942년 6월 6일: 미드웨이 해전: 미국이 일본의 미드웨이 환초 공격을 차단하고 일본의 항공모함 4척을 침몰시키는 승리를 거둠. -- by Pacific War Look Back.--

미드웨이 섬 Midway island

미드웨이 섬(Midway island, ミッドウェイ島 )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쪽을 전황을 바꾼 미드웨이 해전으로 유명한 태평양 한가운 섬이다. 미드웨이 전투를 쓰기 전에 태평양 망망 대해 한가운데 환초로 떠있는 미드웨이 섬에 대해서 알아 본다. 미드웨이 섬은 일본에서 약 3,500Km 떨어졌으며 하와이에서 약 1,300km 떨어진 태평양에 위치한 섬이다. 미드웨이 섬은 총 2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면적은 약 6.2km²이다.  미드웨이 섬은 1859년 미국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35년부터 미국 해군 기지가 설치되었다. 미드웨이섬 또는 미드웨이 환초(Midway Atoll) 미드웨이 제도(Midway Islands)는 태평양에 위치한 미국령 군소 제도의 하나로서 두개의 큰 섬 중 서쪽의 샌드섬과 동쪽의 이스턴 섬, 그 사이의 스핏 섬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은 산호 환초이다.  하와이 제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간점'이란 이름 뜻처럼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대륙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미드웨이 섬의 주민은 약 50명으로, 대부분이 미국 해군의 군인과 가족이다. 미드웨이 섬에는 학교, 병원, 상점 등 생활에 필요한 시설들은 갖추어져 있다. 미드웨이 위치 미드웨이 섬의 정보. 위치: 하와이에서 약 1,300km 떨어진 태평양에 위치 면적: 총 6.2km² 인구: 약 50명 역사: 1859년 미국에 의해 발견 군사:1935년부터 미국 해군 기지 설치 특징: 태평양에서 중요한 군사 전략적 요충지 미드웨이 섬은 태평양에서 중요한 군사 전략적 요충지로서 미드웨이 섬을 보유한 국가는 태평양에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는 중요한 위치이다. 현재 미드웨이 섬은 미국 해군의 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미드웨이 섬에는 항공 모함, 잠수함, 구축함 등 다양한 군함이 배치되어 있는 요새이다. 일본은 태평양전쟁 당시 미드웨이 섬은 일본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만, 미드웨이 섬을 점령하여 태평양에서의 전략적 우위를...

진주만 공격 이후 미.일 군사적 행동

진주만 공격 이후에 일본의 군사적 행동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은 태평양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이 공격으로 인해 미국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고, 두 나라는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진주만 공격으로 일본은 미국의 군사력을 약화시킨 후 빠르게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1942년 초에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홍콩 등을 점령했고, 1942년 중반에는 싱가포르와 뉴기니섬을 점령했다. 일본은 또한 인도양까지 진출하여 영국의 해군 기지를 공격했다. 일본의 간략한 군사행동 일지 12월 8일, 미국에 선전포고하고 태평양 전쟁을 시작했다. 12월 10일, 필리핀을 침공했다. 12월 11일, 영국령 말레이를 침공했다. 12월 19일, 홍콩을 점령했다. 12월 25일, 싱가포르를 점령했다. 1942년 1월 11일, 태국을 점령했다. 1942년 2월 15일, 웨이크 섬을 점령했다. 1942년 4월 9일, 자바 해전에서 미국, 영국, 네덜란드 연합군을 격파했다. 1942년 5월 6일,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국에게 패배했다.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의 군사적 행동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은 일본에 대한 선전포고를 한 후, 대규모 군사력을 동원하여 일본에 맞서 싸운다. 미국은 1942년 중반부터 태평양 전선에서 확실한 반격을 시작했다. 1943년부터는 일본의 점령지를 하나씩 차례대로 탈환하기 시작한다. 진주만 공격 이후 군사적 행동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의 간략한 전쟁 일지 12월 8일,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12월 11일, 독일과 이탈리아에 선전포고하고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42년 5월 7일,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을 격파했다. 1942년 8월 7일, 과달카날 전역을 전장으로 한다. 1942년 11월 8일,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추축군을 격파했다. 1943년 7월 2일, 시칠리아 침공을 시작했다. 1943년 9월 3일, 이탈리아가 항복했다.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을 시작했다....

태평양 전쟁 당시 미.일 함재기 무장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과 일본의 함재기 무장과 승무원. 미국 USA ✈ 🔃무장 ✈전투기: 기관포, 폭탄, 로켓 ✈공격기: 기관포, 폭탄, 어뢰 ✈폭격기: 폭탄 🚻승무원 전투기: 조종사 1명, 무전수 1명 공격기: 조종사 1명, 부조종사 1명, 폭격수 1명, 무전수 1명 폭격기: 조종사 1명, 부조종사 1명, 폭격수 1명, 항법사 1명, 무전수 1명 일본 JAPAN ✈ 🔃✈무장 ✈전투기: 기관포, 폭탄 ✈공격기: 기관포, 폭탄, 어뢰 ✈폭격기: 폭탄 🚻승무원 전투기: 조종사 1명 공격기: 조종사 1명, 부조종사 1명, 폭격수 1명 폭격기: 조종사 1명, 부조종사 1명, 폭격수 1명, 항법사 1명 상세 미국 USA 전투기✈ F4F 와일드캣: 20mm 기관포 6문, 500파운드 폭탄 2발 F6F 헬캣: 20mm 기관포 6문, 2,000파운드 폭탄 2발 F4U 콜세어: 20mm 기관포 6문, 500파운드 폭탄 2발 공격기✈ SBD 돈틀레스: 12.7mm 기관총 4정, 1,000파운드 폭탄 2발 TBF 어벤저: 20mm 기관포 4문, 1,000파운드 폭탄 2발 SB2C 해리어커: 20mm 기관포 4문, 1,000파운드 폭탄 2발 폭격기✈ B-17 플라잉 포트리스: .50구경 기관총 13정, 500파운드 폭탄 12발 B-24 리버레이터: .50구경 기관총 13정, 500파운드 폭탄 12발 미군 폭격기 B-24 리버레이터 이미지 출처 :  https://namu.wiki/w/B-24 B24 함재기 일본 JAPAN 전투기✈ A6M 제로센: 7.7mm 기관총 2정, 250kg 폭탄 1발 Ki-61 히엔: 20mm 기관포 2문, 250kg 폭탄 1발 공격기✈ D3A1 발리: 20mm 기관포 2문, 600kg 폭탄 1발 D4Y1 수호이: 20mm 기관포 2문, 500kg 폭탄 2발 폭격기✈ G4M1 베티: 7.7mm 기관총 7정, 2,500kg 폭탄 1발 G4M2 베티: 7.7mm 기관총 7정, 2,500kg 폭탄 1발 일본 폭격기 G4M2 베...

태평양전쟁 당시 미.일 함재기 분석

태평양 전쟁 당시 미.일 양국의 함재기 규모와 함재기의 성능. 항공 전력 규모 미300 vs 일400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미군은 3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이 중 진주만 기지에 주둔하고 있던 함재기는 238대.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일본군은 4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이 중 진주만 공습에 참가한 함재기는 360대. 이후 1945년 일본이 항복을 할 때 미1,200 VS 200. 🔀미군은 1,2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일본군은 200여 대의 함재기를 보유함. 분석: 당시 미국의 막강한 산업 역량을 볼 수있는 대목임. 미.일 양국의 함재기 성능 비교. 미군의 함재기는 일본군의 함재기보다 일반적으로 성능이 우수했음. 미군의 함재기는 항속거리가 길고, 무장과 전자 장비가 더 뛰어났음. 미군은 항공모함의 갑판이 더 넓어 여유가 있었다. 함재기의 탑재량이 더 많았다. 일본 항모는 상대적으로 협소함 갑판 하부 무장 창이 협소함. 태평양전쟁 당시 대표적인 함재기 미군 함재기 🦢 F4U 콜세어: 1942년부터 실전 배치된 미군의 주력 함재기. 뛰어난 항속거리와 기동성이 우수함. 🦢 F6F 헬캣: 1943년부터 실전 배치된 미군의 주력 함재기. 콜세어보다 성능이 다소 떨어졌지만 생산성이 높았음. 🦢 TBF 어벤저: 뇌격기. 강력한 뇌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 SB2C 헬다이버: 폭격기. 뛰어난 폭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군 함재기 🦢 A6M 제로센: 1940년부터 실전 배치된 일본군의 주력 함재기. 뛰어난 기민성 가벼운 회전성. 🦢 D4Y 수직꼬리: 1941년부터 실전 배치된 일본군의 주력 함재기. 제로센보다 성능이 다소 떨어졌지만 생산성이 높았다. 🦢 B5N9 뇌격기: 뇌격기. 뛰어난 뇌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 B6N2 폭격기: 폭격기. 뛰어난 폭격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 총전력 규모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격 당시 일본군의 총전력 규모. 함대: 11개 함대, 700여 척의 함선 전함: 10척 야마토, 무사시, 나가토, 후소, 야마시로, 히에이, 키리시마, 콩고, 후루타카, 히류 항공모함: 6척 아카기, 가가, 쇼카쿠, 즈이카쿠, 히류, 소류 순양함: 22척 구축함: 110척 잠수함: 63척 이 중 진주만 공격에 참가한 전함은 야마토, 무사시, 나가토, 후소, 야마시로, 히에이, 키리시마, 콩고, 후루타카, 히류, 총 10척. 전함의 규모 일본군의 전함 세 종류. 순양함급 전함: 콩고급, 후루타카급 전함급 전함: 나가토급, 야마시로급, 히에이급, 키리시마급 슈퍼 전함: 야마토급, 무사시급 순양함급 전함은 순양함과 전함의 중간 크기로, 주포의 구경은 356mm이다. 전함급 전함은 주포의 구경이 406mm로 순양함급 전함보다 크다. 슈퍼 전함은 야마토급과 무사시급으로, 주포의 구경이 460mm로 전함급 전함보다 크다. 진주만 공격에 참가한 전함 중 순양함급 전함은 콩고급 2척, 후루타카급 1척. 전함급 전함은 나가토급 2척, 야마시로급 1척, 히에이급 1척, 키리시마급 1척. 슈퍼 전함은 야마토급 1척, 무사시급 1척. 진주만 공격의 전함 규모 진주만 공격 당시 일본군의 전함은 총 10척이다. 이 중 슈퍼 전함은 2척, 전함급 전함은 4척, 순양함급 전함은 4척. 참고 슈퍼 전함인 야마토급과 무사시급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전함이다. 미국의 전함보다 훨씬 강력했다. 전함급 전함인 나가토급, 야마시로급, 히에이급, 키리시마급은 미국의 전함과 비슷한 수준의 전투력을 가지고 있었다. 순양함급 전함인 콩고급과 후루타카급은 미국의 순양함과 비슷한 수준의 전투력이다. 진주만 공격은 일본군이 일본 해군의 전력을 집중하여 미군의 태평양 함대를 기습 공격해서 완전 괴멸 하려 했지만 큰피해를 입히긴 했어도 상당 수준 건재 한다. 이 공격으로 미군은 18척의 전함, 109척의 항공기, ...

진주만 공습 때 미 태평양 총 전력 규모

  진주만 공습 당시 미군의 태평양 주둔 총 전력 규모.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 당시 미군의 태평양 주둔 총 전력 규모. 함대: 6개 함대, 195척의 함선 전함: 18척 아리조나, 캘리포니아, 웨스트 버지니아, 메릴랜드, 오하이오, 네바다, 펜실베니아, 텍사스, 아칸소, 콜로라도, 뉴욕, 워싱턴, 펜실베이니아, 와이오밍, 메사추세츠, 노스 캐롤라이나, 테네시 항공모함: 9척 렉싱턴, 요크타운, 벙커힐, 에식스, 요크타운, 엔터프라이즈, 사라토가, 레인저, 호넷 순양함: 62척 구축함: 117척 잠수함: 56척 이 중에서 진주만 기지에 주둔하고 있던 함선 규모. 전함: 9척 아리조나, 캘리포니아, 웨스트 버지니아, 메릴랜드, 오하이오, 네바다, 펜실베니아, 텍사스, 아칸소 항공모함: 4척 렉싱턴, 요크타운, 엔터프라이즈, 사라토가 순양함: 8척 구축함: 39척 잠수함: 11척 진주만 공격으로 인한 미군의 피해. 전함18척, 항공기 109대, 2,403명의 사상자. 보유 전함 상세 순양함급 전함: 텍사스급 2척, 뉴욕급 1척, 펜실베이니아급 2척, 콜로라도급 2척, 와이오밍급 2척 전함급 전함: 네바다급 2척, 아칸소급 2척 슈퍼 전함: 콜로라도급 1척 보유 항공모함 렉싱턴급 2척, 요크타운급 4척, 엔터프라이즈급 1척, 사라토가급 1척 보유 순양함 중순양함: 뉴올리언스급 5척, 펜실베이니아급 2척, 애틀란타급 4척, 캐롤라이나급 2척 경순양함: 클리블랜드급 22척 보유 구축함 구축함: 폴라리스급 7척, 브루스터급 10척, 스프링필드급 8척, 푼스턴급 2척, 벤슨급 10척, 플레처급 10척 보유 잠수함 S급 잠수함: S-1급 6척, S-2급 8척, S-3급 6척, S-4급 6척 V급 잠수함: V-1급 1척, V-2급 1척, V-3급 1척, V-4급 1척 R급 잠수함: R-1급 1척, R-2급 1척, R-3급 1척, R-4급 1척 T급 잠수함: T-1급 1척, T-2급 1척, T-3급 1척, T-4급 1척 일본군의 진주만 ...